맨위로가기

튀르키스탄-시베리아 철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튀르키스탄-시베리아 철도는 시베리아와 러시아령 투르케스탄을 연결하기 위해 건설된 철도 노선이다. 1886년 아이디어가 제기되었으나, 타슈켄트 철도 건설이 우선시되었다. 1906년 건설이 시작되었고, 1930년에 완공되었다. 소련 붕괴 이후 여러 국가를 연결하는 국제 철도 노선으로 기능하며, 중국과 연결되는 지선도 갖추고 있다.

2. 역사

투르케스탄-시베리아 철도 노선


시베리아와 러시아령 투르케스탄 사이의 철도 건설 아이디어는 1886년 초에 제기되었지만, 타슈켄트 철도와 우랄 산맥의 오렌부르크 사이의 타슈켄트를 잇는 철도 노선이 더 실현 가능하다고 여겨졌다. 1896년 10월 15일, 알마티 두마는 투르케스탄-시베리아 철도 건설의 타당성을 조사하기 위한 위원회를 설립했다. 이 노선은 투르케스탄에서 시베리아로의 면화 수송과 러시아에서 페르가나 계곡으로의 저렴한 시베리아 곡물 수송을 용이하게 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동부 지선은 중국 국경에서의 러시아의 군사적, 경제적 입지를 강화할 것이었다.

1906년, 러시아 제국 정부는 바르나울아리스 사이의 첫 번째 구간 건설 자금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러시아 엔지니어 팀은 철도가 통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스텝 및 반사막 지역에 대한 상세한 조사를 수행했다. 1915년 10월 21일, 노보시비르스크와 세미팔라틴스크를 연결하는 북부 구간은 알타이 철도로 개통되었다. 아리스피슈페크–토크마크 구간은 세미팔라틴스크 철도로 공식적으로 알려졌으며, 프랑스 자본으로 운영되는 러시아 관리 사설 철도 컨소시엄이 건설하기로 했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이 프로젝트는 중단되었다.

볼셰비키 혁명 이후 건설 작업은 10년 동안 중단되었고, 백 러시아가 알렉산드르 콜차크 제독의 주도로 1918년에서 1919년 사이에 건설한 140km 길이의 세미팔라틴스크–아야구즈 노선은 명확한 이유 없이 철거되었다. 나머지 1442km 철도는 1928년에서 1932년 사이에 소련의 제1차 5개년 계획의 일환으로 대대적인 홍보와 함께 건설되었다.

정기 여객 운송은 1929년 5월 10일에 세미팔라틴스크와 아야구즈 사이에서 마침내 시작되었다. 투르크시브는 1930년 4월 21일에 완공되었다. 타슈켄트에서 세미팔라틴스크로 가는 노선을 개척한 기관차(Э-1441(E-1441/Э-1441ru))는 나중에 알마티의 기념물의 일부가 되었다.

빅토르 알렉산드로비치 투린은 1929년에 철도 건설에 관한 소련 다큐멘터리 영화를 감독했으며, 이 영화는 ''투르크시브''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졌다.

투르크시브 철도의 모습 (카자흐스탄 남부 스텝)


소련 붕괴 이후 투르크시브 철도는 여러 국가를 연결하는 국제 철도 노선으로 기능하고 있다. 1990년, 알마티세메이 사이의 악토가이 역은 중요한 분기점이 되었다. 이 역에서 동쪽으로 뻗어 나가는 노선은 도스틱에서 중국의 란신 철도 노선과 연결되어 우루무치, 란저우, 중국 내륙으로 이어진다. 서쪽으로는 발하슈와 카라간다로 연결된다.

투르크시브 철도는 에서 카자흐스탄의 주요 남북 노선(카라간다, 누르술탄, 페트로파블 등을 잇는)과 연결된다.

2. 1. 건설 배경

19세기 말, 러시아 제국은 중앙아시아 진출을 확대하면서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면화의 효율적인 수송과 러시아 본토의 곡물을 페르가나 계곡으로 공급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 이러한 배경에서 1886년, 시베리아와 러시아령 투르케스탄을 연결하는 철도 건설 아이디어가 처음 제기되었다. 그러나 당시에는 타슈켄트 철도와 우랄 산맥의 오렌부르크를 잇는 노선이 더 실현 가능하다고 여겨져 튀르키스탄-시베리아 철도 건설은 우선순위에서 밀려났다.

1896년 10월 15일, 알마티 두마는 튀르키스탄-시베리아 철도 건설의 타당성을 조사하기 위한 위원회를 설립했다. 위원회는 철도 건설을 통해 투르케스탄에서 시베리아로 면화를 수송하고, 러시아에서 페르가나 계곡으로 저렴한 시베리아 곡물을 수송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또한, 동부 지선을 건설하면 중국 국경에서 러시아의 군사적, 경제적 입지를 강화할 수 있다는 점도 철도 건설의 중요한 이점으로 고려되었다.

2. 2. 건설 과정

1886년 시베리아와 러시아령 투르케스탄 사이의 철도 건설 아이디어가 처음 제기되었지만, 타슈켄트 철도와 우랄 산맥의 오렌부르크 사이를 잇는 노선이 더 실현 가능하다고 여겨졌다. 1896년 10월 15일, 알마티 두마는 투르케스탄-시베리아 철도 건설의 타당성을 조사하기 위한 위원회를 설립했다. 이 노선은 투르케스탄에서 시베리아로 면화를, 러시아에서 페르가나 계곡으로 저렴한 시베리아 곡물을 수송하고, 동부 지선은 중국 국경에서 러시아의 군사적, 경제적 입지를 강화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1906년, 러시아 제국 정부는 바르나울아리스 사이의 첫 번째 구간 건설 자금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러시아 엔지니어 팀은 철도가 통과할 스텝 및 반사막 지역을 상세히 조사했다. 1915년 10월 21일, 노보시비르스크와 세미팔라틴스크를 연결하는 북부 구간이 알타이 철도로 개통되었다. 아리스피슈페크–토크마크 구간은 세미팔라틴스크 철도로, 프랑스 자본으로 운영되는 러시아 관리 사설 철도 컨소시엄이 건설하기로 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중단되었다.

볼셰비키 혁명 이후 10년 동안 건설이 중단되었고, 백 러시아가 알렉산드르 콜차크 제독 주도로 1918년에서 1919년 사이에 건설한 세미팔라틴스크–아야구즈 노선 140km는 철거되었다. 나머지 1442km 철도는 1928년에서 1932년 사이에 소련의 제1차 5개년 계획의 일환으로 건설되었다.

1929년 5월 10일, 세미팔라틴스크와 아야구즈 사이에 정기 여객 운송이 시작되었다. 투르크시브는 1930년 4월 21일에 완공되었다. 타슈켄트에서 세미팔라틴스크로 가는 노선을 개척한 기관차(Э-1441(rus))는 알마티에 기념물로 보존되었다.

빅토르 알렉산드로비치 투린은 1929년에 철도 건설에 관한 소련 다큐멘터리 영화 ''투르크시브''를 감독했다.

2. 3. 소련 붕괴 이후



소련 붕괴 이후 투르크시브 철도는 여러 국가를 연결하는 국제 철도 노선으로 기능하고 있다. 1990년, 알마티세메이 사이의 악토가이 역은 중요한 분기점이 되었다. 이 역에서 동쪽으로 뻗어 나가는 노선은 도스틱에서 중국의 란신 철도 노선과 연결되어 우루무치, 란저우, 중국 내륙으로 이어진다. 서쪽으로는 발하슈와 카라간다로 연결된다.

투르크시브 철도는 에서 카자흐스탄의 주요 남북 노선(카라간다, 누르술탄, 페트로파블 등을 잇는)과 연결된다.

3. 노선



투르크시브 철도가 완공된 지 여러 해가 지난 후, 이 철도는 에서 카자흐스탄의 주요 남북 노선과 연결되었는데, 이 노선은 주요 시베리아 횡단 철도 노선 중 하나인 카라간다, 아스타나, 페트로파블을 경유한다.

1990년, 악토가이 역은 알마티세메이 사이 중간 지점에 위치하며 중요한 분기점이 되었다. 이 역에서 동쪽으로 뻗어 나가는 노선은 도스투크에서 중국의 란신 철도 노선과 연결되어 우루무치, 란저우 등 중국 내륙으로 이어진다. 서쪽으로는 발하슈와 카라간다로 연결된다.

'''주요 역'''

노보시비르스크 - 베르츠크 - 이스키팀 - 체레파노보 - 노보알타이스크 - 바르나울 - 알레이스크 - 루브초프스크 - 로코치 - (러시아-카자흐스탄 국경) - 세메이 - 차르스크 - 아야고즈 - 악토가이 - 악바르크 - 우슈토베 - 코크수 - 아이나·브라크 - 사리·오제크 - 카프차가이 - 제티겐 - 알마티 1역 (→알마티 2역) - 오타르 - - 루고보이 - 타라즈 - 심켄트 - 아르스 - (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 국경) - 타슈켄트

악토가이에서는 동쪽으로 도스투크를 경유하여 중국의 북강선과 연결되는 노선과, 제티겐에서 알틴콜리를 경유하여 중국의 정이번선과 연결되는 노선이 분기한다.

루고보이에서는 비슈케크를 경유하여 발릭치까지 연결되는 노선이 분기한다.

'''연결 노선'''

투르크시브 철도는 에서 카라간다, 아스타나, 페트로파블을 경유하는 카자흐스탄의 주요 남북 노선과 연결된다.

1990년, 알마티세메이 사이 중간 지점에 위치한 악토가이 역이 중요한 분기점이 되었다. 이 역에서 동쪽으로 뻗어 나가는 노선은 도스틱에서 중국의 란신 철도 노선과 연결되어 우루무치, 란저우 등 중국 내륙으로 이어진다. 서쪽으로는 발하슈와 카라간다로 연결된다.


  • 본선: 노보시비르스크 - 바르나울 - 세메이 - 악토가이 - 알마티 1역 (→알마티 2역) - - 타라즈 - 심켄트 - 아르스 - 타슈켄트
  • 도스투크 지선: 악토가이 - 도스투크 - (카자흐스탄-중국 국경) - 아라산커우 (→북강선)
  • 알틴콜리 지선: 제티겐 - 알틴콜리 - (카자흐스탄-중국 국경) - 호르고스 (→정이번선)
  • 비슈케크 지선(:de:Bahnstrecke Lugowoi–Bischkek): 루고보이 - (카자흐스탄-키르기스스탄 국경) - 카라발타 - 비슈케크 1역 - 비슈케크 2역
  • 비슈케크-발릭치 지선(:de:Bahnstrecke Bischkek–Balyktschy): 비슈케크 2역 - 토크마크 - 발릭치

3. 1. 주요 역

노보시비르스크 - 베르츠크 - 이스키팀 - 체레파노보 - 노보알타이스크 - 바르나울 - 알레이스크 - 루브초프스크 - 로코치 - (러시아-카자흐스탄 국경) - 세메이 - 차르스크 - 아야고즈 - 악토가이 - 악바르크 - 우슈토베 - 코크수 - 아이나·브라크 - 사리·오제크 - 카프차가이 - 제티겐 - 알마티 1역 (→알마티 2역) - 오타르 - - 루고보이 - 타라즈 - 심켄트 - 아르스 - (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 국경) - 타슈켄트

악토가이에서는 동쪽으로 도스투크를 경유하여 중국의 북강선과 연결되는 노선과, 제티겐에서 알틴콜리를 경유하여 중국의 정이번선과 연결되는 노선이 분기한다.

루고보이에서는 비슈케크를 경유하여 발릭치까지 연결되는 노선이 분기한다.

3. 2. 연결 노선



투르크시브 철도는 에서 카라간다, 아스타나, 페트로파블을 경유하는 카자흐스탄의 주요 남북 노선과 연결된다.

1990년, 알마티세메이 사이 중간 지점에 위치한 악토가이 역이 중요한 분기점이 되었다. 이 역에서 동쪽으로 뻗어 나가는 노선은 도스틱에서 중국의 란신 철도 노선과 연결되어 우루무치, 란저우 등 중국 내륙으로 이어진다. 서쪽으로는 발하슈와 카라간다로 연결된다.

  • 본선: 노보시비르스크 - 바르나울 - 세메이 - 악토가이 - 알마티 1역 (→알마티 2역) - - 타라즈 - 심켄트 - 아르스 - 타슈켄트
  • 도스투크 지선: 악토가이 - 도스투크 - (카자흐스탄-중국 국경) - 아라산커우 (→북강선)
  • 알틴콜리 지선: 제티겐 - 알틴콜리 - (카자흐스탄-중국 국경) - 호르고스 (→정이번선)
  • 비슈케크 지선(:de:Bahnstrecke Lugowoi–Bischkek): 루고보이 - (카자흐스탄-키르기스스탄 국경) - 카라발타 - 비슈케크 1역 - 비슈케크 2역
  • 비슈케크-발릭치 지선(:de:Bahnstrecke Bischkek–Balyktschy): 비슈케크 2역 - 토크마크 - 발릭치

4. 한국과의 연결 가능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